고요손은 사운드, 퍼포먼스, 입체 작업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총체적 감각을 탐구한다. 전형적인 미술 형식이나 전시장의 암묵적인 룰을 탈주하여 여러 장르와 매체의 경계를 넘나들고 감각의 확장을 시도한다. 이러한 실험의 일환으로 작가는 사운드, 영상, 설치 등 여러 장르를 혼합하여 ‘소리(sound)’를 공감각적으로 표현하는 프로젝트 그룹 ‘밴드 바우어(BANDBOWER)’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밴드 바우어의 〈Birds eye view〉는 2019년 〈플렛폼엘 라이브 아츠 프로그램(Platform-L Live Arts Program)〉에서 최우수 선정작으로 당선되었다. 고요손은 2021년 얼터사이드에서 개인전 《Michel》을 가졌고, 다수의 단체전 및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Goyoson explores the realm of holistic perception using a wide range of media, including sound, performance, and sculptures. By breaking away from typical artistic styles and implicit exhibit rules, goyoson crosses the borders of genre and media and seeks perceptual expansion. As a part of this experiment, the artist plays in a band called BANDBOWER. The band makes a synesthetic expression of sound by mixing multiple genres, such as sound, video, and installation. 〈Birds eye view〉 by BANDBOWER won the best artist award at the 2019 Platform-L Live Arts Program. goyoson held the solo exhibition 《Michel》 at AlterSide in 2021 and has participated in many collective exhibitions and projects.
김민아는 디지털 기술 발전의 뒤에 남겨지는 것들에 관심을 갖고, 디지털의 잔해와 인간 삶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 을 예술의 장을 통해 연구하고 있다. 설치물, 사운드, 퍼포먼스, 워크숍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작업을 선보인다. 비타미나(Vitamina)라는 이름으로 사운드 작업을 하며, 다양한 소리들을 실험하며 함께 놀고 배우는 데 관심 있는 여성과 퀴어를 위한 커뮤니티 ‘레지스터 코리아(RE#SISTER Korea)’ 활동을 이끌고 있다.
Mina Kim is interested in leftovers from digital technology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By taking the method of practice-based research, she aims to find a way to coexist with digital debris in our digital society. Her works are pres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installation, audiovisual performance, online reports, and workshops. Under the name of Vitamina, she makes and plays sounds. Also she is a leading member of RE#SISTER Korea, a sisterhood of RE#SISTER Rotterdam.
작곡가 김수진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컴퓨터 음악 작곡을 공부했으며 알고리듬 작곡과 다른 미디어와의 융합, 그리고 하드웨어 제작에 관심이 있다. ICMC, NYCMF, 서울국제컴퓨터 음악제(SICMF) 등에서 작품발표를 했으며 최근에는 기후 변화와 생태계 등 전반적인 환경적 이슈들을 음악적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Sujin Kim studied electroacoustic composition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The songwriter is interested in algorithmic composition, fusion with other media, and hardware creation. Kim has performed in ICMC, NYCMF, and Seoul International Computer Music Festival (SICMF) and recently seeks to express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ecosystems, in music.
김은진은 주로 죽음, 희생, 종교, 여성 등의 고전적 소재와 동양적 회화 방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작업하고 있으며, 한 주제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스타일을 끊임없이 실험한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동양화를 공부하고, 뉴욕에서 커뮤니케이션 아트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20년 《신의 자리》 보안여관, 2018년 《벚꽃》 상업화랑, 2018-17년 상하이 Noeli gallery 《Our Time》, 2017년 홍콩 Art Central 《Remaining time》 등 다수의 개인전을 하였고, 작품은 주로 국립현대미술관 및 서울시립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2016년 국립현대미술관 창동 레지던시, 2019년 현대카드 가파도 아티스트 인 레지던스에 참여한 바 있다.
Eunjin Kim mainly focuses on the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Oriental painting techniques and classic themes, including death, sacrifice, religion, and womanhood, continuously experimenting with new styles rather than sticking to a motif or style. Kim studied Oriental painting at Ewha Women’s University and got a master’s degree in communication arts in New York. The artist has held numerous solo exhibitions, recent ones of which include: 《Locations of God》 at BOAN1942 in 2020, 《Cherry Blossoms》 at Sahng-up Gallery in 2018, 《Our Time》 at Noeli Gallery, Shanghai, from 2017 to 2018, and 《Remaining time》 at Art Central, Hong Kong, in 2017. Most of Kim’s art pieces are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and the Seoul Museum of Art. The painter also participated in Changdong Residency by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in 2016 and Gapado Artist in Residence by Hyundai Card in 2019.
선박회사에서 하던 일을 그만둔 후 영국에서 시각 예술 교육을 받았다. 커뮤니티 활동의 기회가 주어진 인천에서 도시 연구와 예술을 수행하면서부터 작업의 반경을 넓히고 있다. 전쟁 전후의 변화와 군사 문화를 토대로 한 아시아적 상황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거대 담론에 반하는 개인적 활동, 농작물 가꾸기, 동네 청소 등의 체험을 전쟁의 역사로 얽힌 나라의 예술인과 협력하고 직조하는 작업을 만든다.
After resigning from a shipping company, Gemini Kim carried out urban studies and art practice in Incheon. Given opportunities for community activities and an interest in the Korean War, neighborhood, and farming, he is trying to weave small and individual narratives in the war history including Japan and Vietnam as well as Korea by participating in local activities. His recent research is on the post-colonial industries in Asia where countries sell and buy machine factories and his personal experience at that time.
김혜정은 NACA(엔에이씨에이 또는 나카)라는 활동명을 준비 중이다. 평소에는 작가들의 작업을 돕는 테크니션 활동하고 있다. 2022 해시태그 프로젝트 선정 팀 중 하나인 로스트 에어, <Rave Geometry> 프로젝트의 공간디자이너로서 파티 공간을 조성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Kim Hye-jung is preparing for the activity name NACA [eneissiei / naka]. She usually works as a technician to help artists’ art-work. As a spatial designer of project team Lost Air, artist collective that selected the 2022 MMCA Hashtag project, she creates a party space for the <Rave Geometry> project.
다이애나밴드는 관계적 미학을 향한 사운드와 미디어 아트를 실험하는 2인조팀이다. 우리는 관객들의 참여와 관계형성을 위해 공연성과 상호작용성을 작업에 적용하고, 관객은 때때로 작품의 적극적인 개입자로서 혹은 일시적 사건에 개입되는 관찰자로서 사건에 초대된다.
Diana Band is a duo artist team that experiments with sound and media art toward relational aesthetics. We apply performativity and interactivity to the artwork for audience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 formation, and the audience is sometimes invited to the event as an active interventionist in the artwork or as an observer involved in a temporary event.
드미트리스 마로니디스는 그리스의 어쿠스틱, 전자음향, 혼합 미디어 및 인터랙티브 음악 작곡가다. 그는 자신의 작업에서 이 분야들을 합성하고, 알고리즘적 절차로 그의 음악적 재료를 조직하기 위한 탐구를 이어오고 있다. 드미트리스는 제나키스 국제 전자음악 컴페티션과 smART의 창립자/디렉터이며, 컨템포러리 뮤직 랩 A. U. Th의 선임 연구원이다. 테살로니키의 아리스토텔레스 대학에서 음악이론과 컴퓨터 뮤직을 강의하고 있기도 하다. 드미트리스는 테살로니키에서 작곡과 음악학을 공부했고, 심리 음향학 연구소(IPSA)에서 컴퓨터 작곡, 소리 합성, 전자음악 이론을 접했으며, 요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의 풀브라이트 장학생이었으며, 취리히 대학 내부의 컴퓨터 음악 및 사운드 테크놀로지의 방문 예술가로서 활동했다. 그의 설치, 공연 작업은 여러 앙상블과 오케스트라를 통해 전 세계에 소개됐고, 전자음악 작품 또한 전 세계의 다양한 공간에서 공연되었다.
Dimitris Maronidis is a Greek composer of acoustic,
electroacoustic, mixed media, and interactive music. In his works,
he aims to synthesize these fields, and extensively explores
algorithmic processes for organizing his musical material.
Dimitris is the founder and director of Iannis Xenakis
International Electronic Music Competition and smART and also a
leading member of Contemporary Music Lab A.U.Th. He is a tenure
teaching fellow at the Music Department of the Aristotle
University of Thessaloniki where he teaches the courses of Music
Theory and Computer Music.
Dimitris has completed studies in composition and musicology at
the State Conservatoire of Thessaloniki and the Aristotle
University of Thessaloniki respectively, He has studied Computer
Music at the Institute of Psychoacoustics (IPSA); there he was
introduced to the techniques of computer-assisted composition,
sound synthesis, and electronic music theory. He completed his
Ph.D. in composition at the University of York with Thomas Simaku.
Dimitris was a Fulbright scholar at Harvard University and has
been a visiting artist at the Institute for Computer Music and
Sound Technology (ICST) at the University of Zurich (ZHdK). His
works, installations, and performances have been presented around
the world by many ensembles and orchestras. (Lorraine Symphony
Orchestra (FR), State Orchestra of Thessaloniki (GR), State
Orchestra of Athens (GR), Nieuw Ensemble (NL), dissonArt ensemble
(GR), e.t.c.)
람 라이는 홍콩 태생의 작곡가로 네덜란드를 기반으로 활동한다. 기악곡뿐 아니라 주로 전자 음악과 퍼포먼스 등 다원적 작업을 선보이며, 그는 네덜란드 'Veenfabriek'의 음악극 컴퍼니, 프라이부르크의 SWR 실험스튜디오, 헤이그의 뉴 유러피안 앙상블, 홍콩 뉴 뮤직 앙상블에서 일했고, 뮌헨 비엔날레, 슈투트가르트의 'Die Irritierte Stadt', 헬싱키 무지카 노바, 아이슬란드 사이클 뮤직 및 아트 페스티벌, 홍콩 뉴비전 아트 페스티벌, 소닉 앵커 등에 참여했다.
LAM Lai was born in Hong Kong, lives in the Netherlands. Her activity as a composer is not limited to instrumental music, but it is also present in her multidisciplinary works which are predominantly electronic sounds and performative acts. She has worked with, among others, Music-theater company de Veenfabriek (Netherlands); SWR Experimentalstudio (Freiburg); New European Ensemble (The Hague); Hong Kong New Music Ensemble. Participated art festivals include the Munich Biennale, Stuttgart Die Irritierte Stadt, Musica Nova Helsinki, Iceland Cycle Music and Art festival, Hong Kong New Vision Arts festival and Sonic Anchor.
2018년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있는 WORM의 전자음악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결성된 된 RE#SISTER(레지스터)는 사운드 또는 전자음악에
관심이 있는 퀴어 혹은 여성들이 음악을 만들고 서로 도우며 함께
배우는 모임이다.
2022년 3월, 레지스터의 한국 지부인 RE#SISTER Korea(레지스터
코리아)가 서울에서 결성되었고 정기적인 모임(Plug-In)을 통해서
음악과 예술, 창작에 대한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RE#SISTER is a community of women and non-binary artists, musicans
and experimentalists who have been gathering in WORM's electronic
music studio since 2018. Resenting the fact that way more men than
women used this studio, Mariëtte Groot (WORM curator) invited
women and non-binary people with an interest in sound and/or
electronic music, to make music together, support and learn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y organise events and are regularly
asked for performances in venues and festivals across the
Netherlands.
In March 2022, RE#SISTER Korea, the Korean branch of RE#SISTER,
was formed in Seoul and continues to exchange music, art, and
creation through regular meetings (Plug-In).
글과 움직임을 기반으로 공연을 만든다.
LuNa creates a performance based on writings and movements.
릴레이는 김재환, 신민규, 김형도로 구성된 그래픽디자인 스튜디오다. 브랜딩, 웹디자인 및 개발, 전시, 출판물 등 그래픽디자인의 전반적인 작업을 수행하며, 국내 여러 문화기관 및 독립 큐레이터, 동시대 작가들과 활발하게 협업하고 있다.
relay is a graphic design studio founded by Kim Jaehwan, Shin Mingyu, and Kim Hyungdo. The design spectrum of relay varies from Branding, Web design and development, Exhibition, and Publication to collaboration with nationwide cultural institutes and independent curators and artists.
마리엣 그루트는 1990년대 초부터 시작된 웜(WORM)의 역사와 함께 해왔다. 이중 가장 주요한 두 활동은 책과 영화, 음반이 있는 웜 샵(WORM shop)을 운영한 것, 그리고 웜의 전자음악 스튜디오에서 운영하는 레지스터(RE#SISTER) 커뮤니티를 설립한 것이다. 웜 샵은 언더벨리 사운드아트미디어(Underbelly Soundartmedia)라는 모바일/온라인 상점으로 탈바꿈했다. 레지스터는 2022년의 ATM에 참여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로, 전자 및 즉흥음악뿐 아니라 사운드 아트에서 주목받지 못했거나 간과되어왔던 이들을 지원한다. 마리엣 그루트는 목소리와 신시사이저, 샘플 및 어쿠스틱 악기를 사용해 자유롭게 흐르는 음악을 연주한다.
Mariëtte Groot has been involved in WORM since its very beginning in the 1990s. Two relevant activities for WORM have been: running the WORM shop with books, films and records, and founding the RE#SISTER community, operating from WORM’s electronic studio. The WORM shop has morphed into a mobile and on-line shop called Underbelly Soundartmedia; RE#SISTER is a core element in ATM 2022, revealing an ethos of inclusivity, do-it-yourself experimentation and learning, supporting those who tend to be underrepresented in sound art, as well as in electronic and improvised music. Mariëtte herself plays free-flowing music, either solo or with others, using her voice, synths, samples and small acoustic instruments.
일반적인 악기 소리부터 소음까지 감각 가능한 다양한 소리를 발굴하고 또 그 소리 재료들을 유기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탐구해 왔다. 최근에는 미술가, 안무가 등과의 협업을 통해 비음악적인 재료를 음악 안으로 흡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 공연으로 「물질과 시간」(2020년, 오민과 공동 기획)이 있다. 그의 작품은 한국, 미국, 독일, 이탈리아, 러시아, 리투아니아 등에서 디베르티멘토 앙상블, MDI 앙상블, 네오 콰르텟, 앙상블 미장, 앙상블 TIMF 등에 의해 연주되었다.
Seokmin Mun is a composer who is interested in the unique sounds and extended techniques of instruments, and the organic composition of sound materials. Also, he is pursuing collaborative works with video, gesture, Asi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recently. His works have been read and performed by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Divertimento Ensemble, Ensemble Mise-En, mdi ensemble, NeoQuartet, Trio Catch, Ensemble TIMF, Studio for New Music Ensemble among others, and have been presented at the festivals such as Weimarer Frühjahrstage für zeitgenössische Musik, Delian Academy for New Music, Mise-En Festival, Festivalis Druskomanija, Edison Denisov Contemporary Music Festival, Contemporanea 2018, among others. He was awarded and selected at Composition Competition of Weimarer Frühjarstage, Città di Udine International Composition Competition, International Edison Denisov Young Composers Competition, and Sun River Prize.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문종인은 현대음악을 비롯해 연극, 영화, 오페라 및 뮤지컬, 그리고 다양한 다원예술 분야에서 활동하며 음악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독일에서 전시 및 퍼포먼스로 선보인 그의 작업들은 브레멘 단편 영화제입상 및 서울 국제 뉴미디어 페스티벌, 광주 국제 미디어 아트 페스티벌, 금강 자연 예술 비엔날레 등에서 소개되었고, 독일 작센안할트 주(州) 영화음악 페스티벌에서 슈타츠카펠레 할레에 의해 연주되었다. 현재 앙상블 TIMF의 프로그래밍 디렉터로 힘쓰는 동시에, 한국과 독일에서 음악 활동을 지속해나가고 있다.
Moon Jong-in, a composer and pianist, is expanding the scope of his music through contemporary music, plays, films, operas, musicals, and a variety of interdisciplinary arts. His works, presented in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in Germany, were awarded at the Short Film Collection Bremen. His works have been also introduced in Seoul International NewMedia Festival, Gwangju Media Art Festival, and Geumgang Nature Art Biennale. Staatskapelle Halle played his work at Filmmusiktage Sachen-Anhalt in Halle, Germany. Currently, he is working as a programming director of the Ensemble TIMF, while continuing his music career in South Korea and Germany
박재성은 전통적 조각 방식과 3D 조각 및 프린팅 등의 디지털 제작
방식을 아울러 사용하는 조각가다. 사실적 이미지와 서사적 구성의
인체조각을 통해 인간이 가진 이중성과 모순에 관한 생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작업은 역사 속 사건들이 반대파들에 의한 대립과
충돌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정(正)이 일으키는 모순은 반(反)을
만들고, 곧장 충돌한다. 그로 충족된 합(合)은 또 다시 정반합을
이끌어내고 이는 계속 반복되며 오늘날에도 현대사회에 녹아 있다는
생각을 작품에 담고자 한다. 작가는 이와 같은 작업이 미술사에서 자칫
진부하고 따분할 수 있는 소재임에도 그것이 인간의 근원적인
부분이라는 생각으로 기초를 다져가려 한다.
최근 작업에서는 3D 스캐닝,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고대 유물의
시각적 아우라를 훔치려는 시도를 한다. 엄청난 노동과 시간이
집약되어 있는 유물의 표면데이터를 현대기술을 통해 단시간에
습득하고 이를 3차원 디지털 공간으로 가져온다. 디지털화 함으로써
껍데기만 남은 유물은 1차로 고유의 숭고미가 희석되고, 가상의
공간에서 디지털 조각 기술로 편집, 절단, 분해 해체 및 조립 등의
재가공을 통해 2차로 고유의 상징성마저 해체 된다. 이 과정은 과거의
유물이었던 것을 작가의 시각언어로 변모하는, 박재성의 입맛에 맞게
변형이 가능한 준비된 사물로 변질시키는 시도다. 이를 통해 ‘A=B’라는
확고한 상징성을 가진 고대 유물의 불변성을 종식시키고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획득하려 한다. 눈에 익숙한 듯 이질감이 느껴지는 상반된
감각을 탐구하는 시도를 한다.
Jaeseong Park, a sculptor, embraces digital techniques like 3D
sculpting and printing along with traditional ones. The symbolism
in Park’s human figure sculptures with realistic images and
narrative structures represents the artist’s thoughts on the dual
and contradictory nature of human personality. The main idea is
that all historical events are conflicts and collisions between
opposing groups. The contradiction of thesis makes antithesis;
They collide; The conflict makes the synthesis, which leads to
another round of thesis, antithesis, and synthesis. The dialectic
repetition continues in modern society. Although this theme may
seem old-fashioned and banal from the perspective of art history,
the artist tries to establish the basis of its exploration,
regarding it as a fundamental element of human nature.
In the artist’s recent works, Park experiments with a new idea of
“stealing” the visual aura from ancient relics with 3D scanning
and printing techniques. Modern technology learns the surface data
of an artifact made with a great deal of time and labor in a short
time and brings it to a 3D digital space. As digitalization only
leaves an empty shell of the artifact, its unique sublime wanes.
Then the sculptor even deconstructs its iconic meaning by editing,
cutting, breaking down, disassembling, and then reassembling it
with digital sculpting techniques. It is an attempt to transform
the relic of the past into the artist’s visual language—an object
“ready” to be modified as Park pleases. With this process, Park
seeks to bring the constancy of the relic’s fixed symbolism of
“A=B” to an end and open up the possibilities for a new
interpretation. It is an exploration of the ambivalence of
familiarity and difference.
음악인에 경외심을 느끼는 본인은 꽤 열심히 듣는 사람으로, ATM은 1회부터 관객으로 참여했다. 올해는 경계없이 좀 더 안으로 들어와 더 적극적으로 들으려고 한다.
As a passionate listener who admires musicians, Jisoo Park has been to ATM as one of the audience since its first launch. This year, the artist walks further inside the festival without borders for even more active listening.
빛으로 디자인과 공간 연출을 합니다.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과 협업하며 빛이 공간의 안팎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을 탐구합니다.
Gayeong Seo is a lighting designer and scenographer. She is exploring possibilities of lighting in and out of spaces by collaborating with artists from various fields.
손서정은 공연예술 기반의 기획 및 창작 작업을 하는 기획자, 사운드 디자이너, 싱어송라이터이다. 공연예술에서의 관객 경험과 이머시브 씨어터에 관심이 있으며, 포크와 앰비언스, 월드 뮤직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싱글 ‘같은 지구’로 2021년 데뷔했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과와 서사창작과에 재학중이다.
Seojung Son is a producer, sound designer, and sing-a-song writer. She focuses on the audience experience in performance; therefore she is interested in an immersive theater. She debuted in 2021 with a digital single ‘GATTEN Earth’, which is based on folk, ambience, and world music. Now she is studying Arts management and Creative writing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아방가르드 레퍼토리의 활성화와 젊은 창작곡의 소통에 주력하는 작곡가이자 연주자.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작곡을 전공했다.
A composer and performer who focuses on revitalizing the avant-garde repertoire and communicating young creative songs. Semin Son majored in composition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수자나 라슈쿠는 재즈부터 실험음악까지, 어쿠스틱부터 전자음악까지, 서로 다른 장르를 교차하는 작업을 만들고 있다. 즉흥 연주가이자 작곡가로서, 그는 자신의 소닉 픽션을 만드는 데 집중하지만 동시에 정치적, 문화적 현실을 다루기 위해 노력한다. 루마니아 출신으로 네덜란드에서 재즈 전공으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9년에 수자나는 로테르담 전자/실험음악가들의 논바이너리 집단인 레지스터에 합류했고 2021년에는 최신 작품을 매주 방송하는 라디오 웜에서 'DöRöT'의 물결치는 프레스코화를 제작했다. 최근 그는 소놀로지 1년 과정을 통해 알고리즘 작곡과 미분음 처리, 그리고 필드 레코딩을 자신의 작업에 반영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라슈쿠는 사진과 아크릴 페인팅, 디지털 글리치를 포함한 시각적인 측면을 보여주는 작업을 전시하기도 한다.
Suzana Lașcu’s work is gradually being woven across different genres, from jazz to experimental, in the realm of acoustic and electronic music alike. As an improviser and composer, she strives to address political and cultural realities, despite leaning towards crafting sonic fictions of her own. Originally from Romania, she obtained her bachelor and master degrees as a jazz major in the Netherlands. In 2019, she joined RE#SISTER, a non-binary collective of electronic and experimental artists residing in Rotterdam. In 2021, she produced DöRöT's undulating frescoes on Radio WORM, a weekly broadcast of her latest work. Nowadays, thanks to a transformative one-year course at The Institute of Sonology, she incorporates algorithmic composition, microtonal treatment and field recording in her practices. Online, Lașcu tends to exhibit a visual side which includes photography, acrylic painting & digital glitch.
음악 비평가, 헤테로포니 동인. 음악학을 공부했고, 동시대 음악을 구성하는 여러 전통에 관한 의문으로부터 비평적 글쓰기를 시작했다. 『음악의 사물들: 악보, 자동 악기, 음반』을 썼고, 주로 음악에 관한 칼럼과 비평을 쓰거나 음악가와 대화한다. 종종 기획자, 드라마터그, 편집자로 일한다.
Music critic, a member of Heterophony. Yeasul Shin's critical writing started from a question on various traditions of contemporary music. She studied musicolog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uthored The Things of Music: Musical Score,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and Recording. She mainly writes columns and criticisms on music and talks with musicians. Shin sometimes works as a producer, dramaturg, and editor.
신원정은 사물, 매체, 상황, 그리고 리듬을 만드는 작업자다. 기술과 매체로 ‘나’와 ‘너’의 긴밀한 연결과 공감이 가능한 방법과 태도에 대해 이야기한다. 다이애나밴드의 멤버다.
Wonjung Shin is a sound/media artists who creates objects, media, situations, and rhythms. She talks about ways and attitudes that enable close connection between ‘me’ and ‘you’ and empathy with technology and media. She is a member of dianaband and currently based in Seoul.
아네 콜베는 로테르담을 기반으로 자율적으로 활동하는 예술가다. 2013년, 네덜란드 스헤르토겐보스의 신트요스트 예술학교에서 순수 미술 학사를 취득했고 2018년 로테르담의 피에트 츠바르트 인스티튜트에서 석사 학위를 마쳤다. 아네 콜베의 작업은 조각, 공연, 비디오, 명상, 사진, 그림, 텍스트 및 음악처럼 물질적/비물질적으로 다양한 매체로 구현된다. 지난 몇 년간 그는 조각에 뿌리를 두지만 공연과 소리에 집중하는 작업을 발전시켜 왔다. 현재 예술계의 라이프스타일/가십을 다루는 잡지 ‘SCHANDE’를 공동 발간하고 있으며, 다른 예술가들과 함께 사운드 건축과 배경 음악에 대한 라디오 쇼를 격주로 진행하고 있다.
Anne Kolbe is a Rotterdam-based artist with an autonomous practice. In 2013 she graduated from the BA of fine art at Sint Joost (‘s-Hertogenbosch) and in 2018 she completed her MA at the Piet Zwart Institute (Rotterdam). Since then, her practice has resulted in a variety of material and immaterial outcomes: from sculpture, performances, video, guided meditations, photos, drawings, text and music. She developed performative and audio-based work over the past years, whilst maintaining her roots in a sculptural practice. Among other things she currently co-runs 'SCHANDE', lifestyle/gossip magazine for the art scene with Jacco Weener, broadcasts a bi-weekly radio show on sound architecture and background sounds and continuously collaborates with others.
아티옴 콘스탄티노프는 이탈리아 페라라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곡가/사운드 디자이너다. 글리치 사운드, 소리 합성, 소리 손실 등을 재료로 작업하며, 최근작에서는 퓨어 데이터를 통해 소리를 생성하고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을 탐구했다. 사운드 엔지니어, 영상 음악 작곡가 등으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비첸차 콘서바토리에서 전자음악 학사 학위, 볼로냐 콘서바토리에서 사운드 디자인 석사 학위를 받았다.
Artiom Constantinov, born in Crasnaia Gorca (MDA), is a composer and sound designer based in Ferrara, Italy. Mainly working with glitch sounds, synthesis and sound deterioration on his compositions, in his latest works he explores different techiques to generate and manipulate sound through Pure Data. Also working as a location sound recordist, sound designer and composer for films, documentaries and other media. He has a M.A. in Sound Design from Conservatory of Bologna, and a B.A. in Electronic Music from the Conservatory of Vicenza.
안벼리는 사운드 아티스트로 어쿠스틱과 일렉트로닉 음악에 경계를 두지 않고 활동한다. 특히 소음이 어떻게 음악과 이어질 수 있는지 끊임없이 고민한다. 그녀는 독특한 소리를 수집하고, 이를 재료로 다양한 기법으로 작품을 풀어낸다.
As a sound artist, Byeori Ahn works without boundaries between acoustic and electronic music. Especially, she constantly think about how noise can be connected to music. She has been collecting strange sounds and composing them as materials in various techniques.
애쉬 킬마틴은 뉴질랜드 아오테아로아 출신의 시각예술 작가이자 라디오메이커로 현재 로테르담에 거주하고 있다. 라디오 웜의 멤버이며, 조각, 퍼포먼스, 글쓰기, 오디오 콜라주, 출판 작업을 하고 있다. 그의 작업은 신체의 물리적 물질과 사회적 언어 구조의 경첩으로서 기능하는 공공 공간을 만들고 찾는 도구로서의 ‘목소리’에 집중한다. 그는 말하는 몸의 역사적 특징(즉, 비언어적 의사소통), 그리고 어떻게 목소리가 철자, 공간, 질감으로 번역되는지에 관심을 둔다. 음악과 필드 레코딩, 가청 세계의 파편에 대한 프로그램인 ‘Ever Widening Circles’의 공동 진행자이다. LIFE 상점을 운영하기도 한다.
Ash Kilmartin is a visual artist and radiomaker from Aotearoa New Zealand who lives in Rotterdam and is part of the team behind Radio WORM. She works in sculpture, performance, writing, audio collage, and print. Her work is concerned with the speaking voice as a tool for finding and making public space, as the hinge between the physical material of the body, and the social fabric of language. She is interested in historical characterizations of the speaking body; in non-linguistic vocalisations as communication; and in how the voice can be translated into orthography, texture, or space. With Linus Bonduelle she is co-host of Ever Widening Circles, a weekly hour of music, field recordings, and other fragments of the audible world. She also operates a shop called LIFE.
앤드루 와츠는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전역에서 활동하는 실내악, 교향악, 멀티미디어, 전자음향 작곡가이다. 달 니엔테(Dal Niente), 에크멜레스(Ekmeles) 등 유수의 음악 단체를 위해 곡을 써온 와츠는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박사, 옥스포드 대학교에서 석사,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MATA, 임펄스, 레이니 데이즈, YCM 등에 작곡가로 참여했으며, 현재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 바버바의 크리에이티브 스터디즈 대학(College of Creative Studies) 작곡과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Andrew A. Watts is a composer of chamber, symphonic, multimedia, and electro-acoustic works performed throughout America, Europe, and Asia. Watts has written for today's top new music groups including Dal Niente, Ekmeles, Proton Bern, Distractfold, RAGE Thormbones, Splinter Reeds, Quince, and Line Upon Line. He completed his D.M.A. at Stanford, master's at Oxford, and bachelor's at NEC. He has been a featured composer at MATA, impuls, Rainy Days, Delian, YCM, Cheltenham, Darmstadt, Composit, Ostrava Days, highSCORE, The Composers Conference, Etchings, Fresh Inc., NMOP, and AMF. Watts is currently a Lecturer in Music Composition at UCSB’s College of Creative Studies.
다양한 모양과 시간의 빛과 그림자를 채집하고 있다. SeMA-하나 미디어아트 어워드를 수상한 〈한국인을 관두는 법〉(안건형, 2018)을 촬영했다.
Kwanhee Yoon collects light and shadows in various shapes and time. He shot 〈How to Stop Being Korean〉, directed by Ahn Kearn-Hyung in 2018, which won The SeMA-Hana Media Art Award.
기획자, 작곡가, 사운드 디자이너. 2016년 뉴뮤직 콜렉티브 아트 인큐베이터 설립 후, 평등과 실험성을 기조로 한 음악 관련 프로젝트를 기획·제작·운영한다. 동시대 음악을 다루는 새로운 접근방식을 모색하는 국제 페스티벌 〈Audio-Trading-Manual〉, 음악의 시청각적 감각을 실험하는 〈Eye, Ear, Etc.〉 등의 시리즈 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으며, 서울시립미술관, 문화비축기지, 백남준아트센터, 수원문화재단, 문래예술공장 등지에서 음악에 관련한 다양한 프로젝트/이벤트를 기획했다. 작곡가이자 사운드 디자이너로서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클래식 리믹스〉 프로젝트 참여, EBS 라디오 〈저세상 ASMR〉 사운드 디자인·제작을 맡았다.
Producer, composer and sound designer. In 2016, Sojin Yoon established Arts Incubator and as a director of the collective, Yoon arranges various music projects which aims experiment and equality. She has been producting on series projects such as 〈Audio-Trading-Manual〉, an international new music festival seeking a new approach to contemporary music, and 〈Eye, Ear, Etc.〉 to experiment with the audio-visual senses of music. She also has organized various projects/events related to music at the Seoul Museum of Art(SeMA), Nam June Paik Art Center, Suwon Cultural Foundation, and Seoul Art Space Mullae. As a composer and sound designer, she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Symphony Orchestra's 〈Classic Remix〉 project and was in charge of designing and producing the sound of EBS radio 〈Otherworld ASMR〉.
윤정의는 주로 인체를 소재로 조각을 제작한다. 인체는 작업의 형상뿐만 아니라, 조각가의 몸짓에 대한 탐구로 이어져 다른 매체와는 차별된 조각가의 수행을 연구하는 단초가 되기도 한다. 또한, 조각을 이루는 요소를 인체와 같이 해부학적으로 해체한 뒤 변형하고 재조합하는 과정을 통해 조각의 구조, 재료의 물성, 동시대 조각 장르의 경계를 고찰한다. 서울대학교 조소과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동대학원에서 수학하고 있다. 2021년 오시선에서 전나윤과 《근육 데코》 2인전을 가졌고, 2021년 뮤지엄 헤드 《Bony》, 2020년 라라앤 《사람 모양 재료》, 2019년 탈영역우정국 《2019 PACK: 모험! 더블 크로스》 등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Jeong-ui Yun mainly sculpts the human body. The human body represents not only the figures of the sculptures but also the sculptor’s exploration of movements, which is the beginning of a search for what differentiates sculpting from other media. The artist also dissects the elements of a sculpture as in human anatomy, transforms, and then recombines them to examine the sculpture’s structure, the properties of materials, and the borders of contemporary sculpting genres. Yun received a bachelor’s degree in sculptur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is studying in a graduate program at the same university. The artist held the duo exhibition 《Muscle Deco》 with Na-Yoon Jeon at Osisun in 2021 and has participated in several collective exhibitions, including 《Bony》 at Museumhead in 2021, 《Human Shape Materials》 at LaLa& in 2020, and 《2019 PACK: Adventure! Double Cross》 at Post Territory Ujeongguk in 2019.
윤지영은 전자음악 작곡가이자 사운드 디자이너, 뉴 미디어 아티스트다. 사운드를 독특한 방식으로 디자인하고, 첨단의 테크놀러지를 접목시켜 창작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Jiyoung Yoon is a composer and new media artist working on the boundaries of analog and cutting edge digital technology, between composing, installations, and audiovisual live sets.
독보적인 음색과 테크닉으로 많은 관객을 사로잡는 첼리스트 이금희는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 후 도미하여 뉴욕 스토니브룩 주립대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University of Minnesota at Morris 상주음악가, The Dream Unfinished 객원 수석, Three Village Chamber Players의 멤버로 다양한 현대음악을 연주하였고, Highline String Quartet과 함께 맨해튼과 브루클린에서 수십회의 Candlelight Concert Series by Fever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귀국 후 다양한 시도를 통해 국내 음악계에서 저변을 넓히고 있는 이금희는 2021년 앙상블리안 현대음악 시리즈 선정 첼리스트이자 콰르텟 프로젝트와 하우스 리사이틀을 통해 관객을 만나고 있다.
Cellist Kumhee Lee, who captivates many audiences with her unique voice and technique, went to the U.S. after graduating from Ewha Womans University and earned her master's and doctorate degrees from Stony Brook State University in New York. She played various contemporary music as a resident musician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at Morris, the head of a guest musician of The Dream Unfinished, and a member of the Three Village Chamber Players. Lee also successfully led dozens of Candlelight Concert Series by Fever in Manhattan and Brooklyn with the Highline String Quartet. Kumhee Lee, who is expanding her base through various attempts after her return to South Korea, is a cellist selected for the 2021 Ensemblian contemporary music series, and she meets the audience through the Quartet Project and House Recital.
추계예술대학교에서 작곡과 전자음악을 공부하고 있으며, 소리를 규정 짓는 변수들을 다루는 과정과 기술에 대한 깊은 호기심을 가지고 있다.
Donghyuk Lee is a composer and sound artist based in Seoul, South Korea. Employing acoustics and sound synthesis, his works embrace sheer passion towards the sound itself. He is currently an undergraduate student studying music composition at Chugye University for the Arts.
작곡가. 간혹 피아노를 치고 종종 공연을 꾸리며 가끔 협업과 작문을 한다.
Composer. Sangwook Lee sometimes plays the piano, organizes performances, occasionally participates in collaboration projects, and writes.
미래의 음악 형식과 연주 형태 등을 탐구한다. 작, 편곡에 있어 한국과 유럽의 전통적인 악기들과 현대의 기술이 융합되어 만들어내는 새로운 방향의 음악을 지향한다. 동작구 흑석동의 음악공간 중력장을 운영하며 동시대음악을 지속적으로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꾸준히 만들어낸다.
Yongsok Lee explores the future of forms in music and performance. His composition and arrangement are aiming to make a new type of music which is a fusion of traditional Korean and European instruments and modern technologies. He is also a owner of concert venue, Musicspace GF and organizes concert series that creates opportunities for constant performance of new music.
소리, 소음과 비체(abject) 존재자의 관계에 대해 관심이 있다. ‘비체가 소리라면?’ 이라는 질문에 답해보기 위해 작업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소리와 움직임이 있는 기계를 만드는 연구와 실천을 통해 소리를 구성하고 해체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
Hee Ju Im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nd, noise, and abject beings. Im is making her artwork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f the abject is sound?' Recently, she is o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dismantling sound through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producing machines that make sound and movement.
정현지는 네덜란드 로테르담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사운드 아티스트, 작곡가이자 퍼포머다. 모듈러 신스로는 미니멀리즘의 영향을 받아 점진적인 음색 변화, 순환하는 작곡 구조와 함께 조성과 무조성간의 인터랙션을 탐구한다. 최근작 〈Vasantadivasa〉(2022)에서 봄날의 각각 다른 시간에 관한 힌두스타니 전통 라가와 그에 따른 무드와 공명 상태를 힙노틱한 패턴과 드론 스타일의 보컬로 구현했다.
Hyunji Jung is a Rotterdam-based South Korean sound artist, composer and performer. Her sonic exploration in modular synthesis focus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onality and atonality with gradual timbral change, cyclical compositional structure informed by minimalism. In her recent project 〈Vasantadivasa〉 (2022), she explored Hindustani classical ragas at different times of a day in spring, creating moods and psychic states with hypnotic patterns and the droney vocal.
포르투갈 브라가에서 태어났다. 브라가 굴벤키안 콘서바토리에서 음악과 작곡을 공부했고 리스본 음악학교에서 작곡 학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함부르크 국립음대에서 멀티미디어 작곡 석사 과정 중이다. 그의 작업은 한국, 미국, 콜롬비아, 멕시코,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오스트리마, 스위스, 이탈리아, 벨기에,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스페인, 포르투길 전역에서 소개되었고, 유네스코의 브라가 미디어 아트, ZKM, 가우데아무스, RTP, 등지에서 커미션을 받았다.
Born in Braga, Portugal. Studied Piano and Composition at Braga
Gulbenkian Conservatory and did his bachelor in Composition at
Lisbon Superior Music School. Currently, he is doing his Masters
in Multimedia Composition at the Hochschule für Musik und Theater
Hamburg with Alexander Schubert. His work as been presented in
South Korea, USA, Colombia, Mexico, Germany, France, The
Netherlands, Austria, Switzerland, Italy, Belgium, Norway,
Iceland, Spain and, regularly, all over Portugal.
Has received commissions from: UNESCO – Braga Media Arts /
ZKM, Gaudeamus, RTP / Antena 2, Casa da Música, Centro Cultural de
Belém, JOP, ensemble neoN, Arte no Tempo and Aveiro City Council.
타악기와 일상의 물건, 버려진 사물의 소리 등을 사용한 연주/창작 활동을 한다. 관습적인 타악기 연주를 벗어난 공연과 동시대의 젊은 작곡가들과의 협업을 즐기며, 2017년부터 여성 4인으로 구성된 타악기 뮤직테아터-퍼포먼스 앙상블 Ensemble Rot를 결성하여 유럽에서 활동 중이며 잊혀지거나 덜 알려진 여성 다다이스트들의 작품을 재해석하고 여성의 몸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타악기 중심의 뮤직테아터/퍼포먼스에 기반한 〈진_유영 프로젝트#n〉를 이끌어가고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예비학교 수료와 이화여자대학교 학부를 거쳐 독일 프라이부르크 국립음대 석사 및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했다.
Jiyoung Yoon is a composer and new media artist working on the boundaries of analog and cutting edge digital technology, between composing, installations, and audiovisual live sets.
차나 분은 퍼포머이자 영화감독, 시각예술 작가이며 헤이그 왕립예술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그는 인간과 비인간의 신체가 공간, 물질, 건축, 그리고 소리와 연결되고 개입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환상적이거나 실제적인 이야기,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데이터의 구체적인 역사를 조사하면서 분은 음향적 몸체(Acoustic Body)라는 현상을 다룬다. 허구와 사실이 지적 콘텐츠로 연결되고 서사적 기능을 갖게 되는 동안 음향적 몸체는 일시적 속성과 시간의 표식을 생산하며, 작품의 시간 안에 더욱 구체적으로 자리잡는다.
Channa Boon is a visual artist, performer and filmmaker, and teaches at the Royal Academy of Art in The Hague, Holland. Her work investigates in what way the human or non-human body relates to and intervenes with space, objects, architecture and sound. Investigating specific histories; fictional or true stories and demographic data, Boon works with the ‘Acoustic Body' a phenomenon she found and accounts of through her work. While the fictional or true stories carry the intellectual content and concrete narrative function in the work which allow for a more specific positioning in time of the work, the Acoustic Body produces the more ephemeral quality and signage of time.(photo: The Reincarnations, from left to right: Channa Boon, Kizzy Weber and Dorien Meysing. The hague, 2001)
텐거는 범아시아 커플인 있다(Itta)와 마르키도(Marqido), 아들 라아이(RAAI)로 구성된 여행하는 음악 가족이다. 하르모니움, 목소리, 장난감 악기(있다의 연주) 및 아날로그 신디사이저(마르키도의 연주)로 사이키델릭한 뉴에이지 드론 음악을 만들며, 라아이는 목소리, 신디사이저, 댄스 퍼포먼스로 공연에 참여한다.
TENGGER is a traveling musical family, made up of Pan-Asian couple, itta and Marqido, who create their brand of psychedelic New-Age drone magic through the use of harmonium, voice, and toy instruments (played by itta) and analogue synths (played by Marqido). and their son RAAI joins on stage with his voice, synth, and dance performance.
티사 네자 헬레츠는 소리와 목소리, 텍스트 및 이미지로 소통하고, 조직하고, 쓰고, 공연하며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그는 협업과 절차, 그리고 구조 사이의 마찰로부터 영감을 받는다. 보컬 퍼포먼스에서 그는 잠재의식의 노래를 재료 삼아 확장된 테크닉과 목소리의 가능성을 탐구하며 구조와 내러티브, 시, 그리고 현존을 상상적으로 활용한다. 그는 즉흥과 구성에 대해 고민하며, 이들 사이의 상호 작용과 그들의 해방을 탐구한다. 유럽 전역의 다양한 앙상블, 전시, 공연, 조직 및 출판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슬로베니아의 류블라냐에서 순수미술 석사 학위를, 로테르담에서 실험 출판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Tisa Neža Herlec (1996, Slovenia) communicates, organizes, writes,
performs and creates imaginaries (with sound, voice, in texts and
images). Collaboration, processuality and the friction between
structures ignite her inspiration. In her vocal performances, she
sources a song from the subconscious, using extended techniques
and exploring the capacities of the voice, empowering it and
imaginatively playing with structures, narratives, poetry and
presence.
She thinks and practices composition and improvisation, exploring
its emancipatory and interactive potentials. She is a member of
various ensembles, and performs, exhibits, organizes and publishes
around Europe, promiscuously, spontaneously and with great joy.
She completed a masters in Fine Arts in Ljubljana, and a masters
in Experimental Publishing in Rotterdam, where she is currently
based.
루마니아 트란실바니아 태생,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활동하는 '문-라이더' 헨리에타 뮐러는 소리와 시각 배아가 진화할 수 있는 초연결 사회를 만드는 분위기 속에서 유동성을 느끼며, 다원적 작업을 만들어가고 있다. 그는 라디오 웜의 호스트이며, 로테르담 기반의 DJ (a.k.a BenKult) 콜렉티브 멤버이기도 하다. 웜의 무대에서는 그가 주목하는 외부자적 인식에 대한 급진적인 환영들을 그가 어떻게 계획하고 조형하는지를 찾을 수 있다.
The Rotterdam based, Transylvanian born (1992) moon-rider works wit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feels fluid around ambience where she creates a hyper-connected society for sonic and visual embryos to evolve. She is hosting a weekly radio show at Radio WORM, active member of a Rotterdam based collective as one of their resident DJ a.k.a BenKult. You can find her planning and shaping events for WORM’s stages where she is focusing on a radical celebration of the outsider perception.
현이재는 이미지 제작의 물질적 과정과 세대적 정체성을 연결하고자 한다. 독특한 방식으로 디지털 이미지를 페인트에 인쇄함으로써, 작가는 미디어 문화와 개인사를 재생산하고 콜라주 소재로 구체화한다. 그러한 피부와 같은 이미지들은 다른 형태로 추상화되어 절단된 신체 부위 또는 오브제와도 같은 모습을 띠게 된다. 작가에게 삶을 살아가는 것은 물질적이지만 동시에 어딘가 분리되어 있다고 느낀다. 마치 ‘사진’이라는 매체가 종종 그렇듯, 현실을 조각내고 기록한다. 현이재는 ‘로드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 (RISD)’에서 회화와 철학으로 학위를 수여받았다. 그는 벤쿠버, 미국, 서울 등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최근 그룹전 《현대 1차: 어디에 기르는가》, CAMP2020, 2020과 《신현대》, GCS, 2021 및 개인전 《새해는 웃는다》, 오시선, 2021에 참여하였다.
E.J Hyun seeks to connect the material process of image-making with his generational identity. By unconventionally printing digital images on sheets of paint, Hyun materializes the imprints of media culture and personal history into a collage material. The skin-like images are abstracted into forms, resembling dismembered body parts or objects. To the artist, experiencing life feels both tactile and removed, as a photographic medium often is—splitting reality to create its imprints. Hyun received his degrees in painting and philosophy at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RISD). He has worked in Vancouver, US, and Seoul. Hyun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Hyundai 1st: Where to Raise》 at CAMP2020 in 2020 and 《Neo-Hyundaism》 at GCS in 2021. He also had his solo exhibition 《New Year is a Laugh》 at Osisun in 2021.
추계예술대학교(작곡), 한국예술종합학교(음악테크놀러지과)-전문사 과정, 헤이그 왕립음악원(sonology) master. 작곡가, 사운드 아티스트 등 다양한 예술분야로 활동중이고 공연예술에 실험을 통하여 현대예술의 여러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다. 독주악기와 전자음악 시리즈로 독주악기의 가능성을 전자음악을 통해 표현하며 한국(SICMF), 네덜란드(Composing Space, ICMC), 리투아니아(AHEAD), 그리스(ICMC), 일본(NWEAMO) 등에서 연주 되었으며 여러 컴퓨터음악 연주회에서 음향기술 감독으로 활동하고있다.
He studied Composition and Electro-acoustic music at Chugye University for the Arts(2002-2008, BA), Music Technology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2009-2011, Artist Diploma) and Sonology in the Royal Conservatory of the Hague(MA). His main interest is electro-acoustic music and sound design for composition. He has worked as composer and sound designer for films and dance performance and also work as interactive designer for opera and dance performance. His pieces was performed in Korea, NL, LT, GR and JP. He has been active as concert producer for several computer music festivals.
ABOPF(김지현)은 한국의 보컬리스트이자 사운드 아티스트다. 규칙 없이
흩어지는 사운드를 한곳에 모아 재배치하며, 그것을 목소리와
결합함으로써 영원이라는 모순된 속성에서 일컬어지는 허무에 대해
이야기한다. 곧이어 보여질 미래에서는 소리의 형상화를 통하여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실존하는 판타지를 만들어내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Soma Kim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DJ, 음악가 그리고 미디어
아티스트다. 사진과 무빙 이미지 그리고 음악과 뉴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경유하여 신체와 그 좌표를 감각하는 방식에 꾸준한 관심을
두고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주로 기술매체에서 파생된 이미지에서
불확실성과 오류를 찾아내고, 그와 사회문화적 인식 사이의 유격에
집중한다.
ABOPF is a Korean vocalist and sound artist. Kim collects and
rearranges irregularly scattered pieces of sound to combine them
with the voice under the theme of futility from the contradiction
of eternity. The artist’s ultimate goal is to break the boundaries
of art and create a real fantasy by giving shape to sound.
Soma Kim is a Seoul-based DJ, musician, and media artist. The
artist continues to work on the ways of feeling the body and its
coordinates via various media, including photographs, moving
images, music, and new media. Kim mainly focuses on the
uncertainty and error found in images from technological media to
highlight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sociocultural perception.
fwb는 김재은, 한우경이 결성한 아티스트 컬렉티브 팀으로 주로 영상과 설치 작업을 선보이며, 신화 속 이야기를 차용하여 동시대의 사회적 감각과 인간의 본질적인 욕망을 탐구한다. 자본화된 현대 사회에서 매끈하게 포장된 욕망은 신화적 상징이나 순백의 환상적인 이미지로 재현된다. 하지만 동시에 틈입하는 우스꽝스럽거나 과장된 이야기와 이미지는 포장된 욕망 이면의 세속적이고 본질적인 열망을 은밀하게 드러낸다. fwb는 환상, 신화, 포장, 순백, 수직 등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풍경을 때로는 은유적으로 때로는 직접적으로 그려낸다.
fwb is an artist collective formed by Kimjaeeun and Hanwookyeong. Predominantly with video and installation art, the team explores contemporary social feelings and essential human desires, borrowing stories from mythology. They reproduce the sugarcoated desires in this modern, capitalist society with mythological symbols and pure-white, fantasy-like images. But ludicrous and exaggerated stories and images break into them to secretly reveal the secular and instinctive cravings behind the sugarcoated desires. With keywords such as fantasy-like, mythological, sugarcoated, pure-white, and vertical, fwb depicts the capitalist society, sometimes metaphorically and at other times directly.